디자인

프론트엔드 첫번째 시간

바다를바라보다 2021. 1. 21. 22:26

키워드란? 자바스크립트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단어로 예약어로 지정되어 있다

예약어란 이미 지정되어있는 단어로 변수명이나 함수명으로 쓰일 수 없다

 

식별자란? const name = mark >> 마크는 네임이라는 식별자를 가지게 됨

              function hello() {} >> 이 기능은 헬로우라고 식별됨

              const person = {name: 'Mark', age: 37}; 식별자 안에 식별자가 있음 대소문자를 구분함

 

변수나 함수 이름은 아무렇게나 짓지 않고 용도에 맞게 지어준다 그리고 앞에 숫자는 쓸 수 없다

 

변수와 상수 >> const로 상수를 지칭함

                 >> const sum(그냥 할당 해준 이름) = 5 + 10;

if (sum % 3 ===0) { console.log('야호3') ;} // sum을 3로 나눈값의 나머지가 0이 아닐때 야호 3 출력

if (sum % 5 ===0) { console.log('야호5') ;} // sum을 5로 나눈값의 나머지가 0이 아닐때 야호 3 출력

 

변수는 let으로 지정해줌 >> 변수를_지칭하는_이름 = 값 

변수의 유효 범위 // { }블록 스코프에따라 다르다

>> const {  const name = 'mark'        console.log(name) }  >> 마크가 잘 출력된다

그러나 밖에서 console.log(name)을 출력하면 네임의 존재를 모른다 밖에서 정의한 변수는 쓰일 수 있음

 

{}안에서 선언한 변수는 밖에서 출력불가 그러나 이미 밖에서 선언한 것은 안에서 출력가능

 

함수 function hello1() { console.log('hello1')} >> 이것은 함수를 지정하는 것이다

이제 콘솔로그없이 hell1(); 이렇게 써주면 hello1이 출력됨

 

const a = 0;

 

(function(){   >>즉시 실행 함수

    a++;

    console.log();

})();               >>에이 +1이 출력됨 그리고 ()에 들어가 있는 것은 함수의 이름이됨 

 

console.log(a) >> 0 

 

(function(){   >>즉시 실행 함수

    const b = 0;

console.log(b);

})();               

 

var c = 0;

 

{ c++; console.log(); } >>> 0   / /  ({var d = 0; console.log(d);} 밖에서 콘솔로그로 d를 출력해도 출력됨 let과 const는 안됨 


호이스팅이란?? 뭐 그냥 그렇게 깊이 알필요없고 VAR를 왠만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

먼저 선언을 해야 가능한 const let을 쓰자!

 

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

/-- Boolean --/

 

const isTrue = true;

const isFalse = false;

 

console.log(isTrue, typeof isTrue); // 타입오브는 어떤 타입인지 알고 싶을때 씀

console.log(isFalse, typeof isFalse); // 

 

const b = Boolean(false);

 

console.log(b, typeof b);

 

/-- Null Undefined --/

 

const a = null; // 값이  없다는 것을 표현하는 오브젝트

 

console.log(a, typeof a);

 

//undefined

 

let b;

 

console.log(b, typeof b);

 

if (a == b) {

  console.log(a == b);

} //같은 것이라고 판단됨

 

if (a === b) {

  console.log(a === b);

} // 다른 것이라고 판단 ===은 타입까지 같은지 판단해주기 때문임

 

/--Number--/

 

const a = 37;

 

console.log(a, typeof a);

 

const b = 96.7;

 

console.log(b, typeof b);

 

const c = NaN;      Nan은 숫자가 아닐때 나오는 함수정의

 

console.log(c, typeof c)

 

const d = Number("Mark");

 

console.log(d, typeof d);

 

const e = Number("37");

 

console.log(e, typeof e)

 

/--String--/

 

 

 

Symbol